국산화 올해 우주항공산업의 새로운 혁신이 온다!
2025년 우주항공청 주요업무 추진계획
2025년 우주항공청의 주요업무 추진계획은 국가의 우주항공 산업 발전을 위해 설정된 3가지 정책방향과 7개 핵심과제를 포함합니다. 우주항공 청은 올해 우주항공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민간 중심의 경제 가속화 및 차세대 기술 확보에 나설 것입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누리호의 4차 발사, 차세대중형위성 3호 발사, 다목적실용위성 6·7호 발사를 포함하는 중요한 계획이 있습니다. 이러한 계획들은 대한민국이 우주항공 분야의 선도국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우주항공 혁신 기반 마련
우주항공 혁신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우주항공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우주항공청은 분기별로 정책 거버넌스를 운영하면서 기구 간의 연계 방안을 강화하여 통합적 정책 수립 기반을 확고히 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주항공 인력 양성 시스템을 확립하고, 국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 우주항공 문화를 조성하는 데 힘쓸 것입니다. 이는 국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응원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형성하는 데 기여 할 것입니다. 또한, 우주항공 연구개발임무센터를 지정하고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운영하여 인력 양성과 취업 연계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우주항공경제 생태계 조성
민간 중심의 우주항공 경제를 조성하는 계획은 핵심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입니다. 우주항공청은 민간주도 발사체와 위성의 개발을 지원하여 경제 생태계를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우주항공산업의 핵심 소재와 부품의 국산화가 이루어질 것이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스타트업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우주항공 펀드를 활성화하여 기업의 성장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입니다.
-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민간 우주 수송 분야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획이 추진됩니다.
- 2030년대 중반까지 발사 비용을 경제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재사용 발사체 기술의 확보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 첨단 위성 개발 및 발사를 통해 우주산업에서의 기회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우주망원경 및 달 탑재 모니터 개발
우주항공청은 NASA와 협력하여 우주망원경 SPHEREx를 공동 개발하고 실증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이는 우주 탐사와 관측의 새로운 기준을 설정할 것입니다. 또한,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를 통해 달 표면 탐사를 위한 국제 협력의 기초를 마련하고, 독자 기술로 2032년 달 착륙을 위한 개발도 본격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미래의 우주 탐사에서 한국의 지도적 역할을 확립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항공 산업의 고부가가치 전략 확보
우주항공청은 첨단 기술 및 고부가가치 항공 산업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항공 가스터빈 엔진의 국산화 기술 개발 방안을 마련하고 성층권 장기체공 드론의 시험 비행을 진행하여 드론 산업의 육성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국내 제조업의 역량을 활용하여 항공산업의 주요 생산 품목을 고부가가치 소재 및 부품으로 다양화하기 위한 사업을 기획할 계획입니다. 이는 국민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우주항공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올해는 국가 간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이 특히 치열해질 것입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우주항공 패권시대에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의지를 표현했습니다. 이러한 추진력은 대한민국을 우주항공 5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도울 것입니다.
마치며
우주항공청의 올해 목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우주항공 산업 발전입니다. 민간 기업과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적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투자와 연구가 이뤄진다면, 대한민국은 우주항공 분야에서의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의처
우주항공청에 대한 문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획재정담당관: 055-856-4113
- 국제협력담당관: 055-856-4152
- 우주항공정책과: 055-856-4211
- 우주항공산업정책과: 055-856-4311
- 우주수송임무설계프로그램: 055-856-5220
- 인공위성임무설계프로그램: 055-856-5220
- 우주과학탐사임무설계프로그램: 055-856-5312
- 항공혁신임무설계프로그램: 055-856-5431
출처
모든 자료는 우주항공청의 공식 발표 및 정책 브리핑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정책브리핑 www.korea.kr의 제공 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