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사업 정부·지자체 3조 3000억 원 투입!
내년 창업지원사업 개요
정부와 지자체가 내년에 3조 3000억 원 규모의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통합공고를 통해 창업자와 예비창업자에게 정보 제공을 통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원사업 정보는 통합적으로 제공되며, 이는 창업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통합공고에는 총 101개 기관의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 원입니다. 중기부는 2016년부터 이와 같은 통합공고를 진행하였고, 이는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도록 돕고 있습니다.
예산 및 지원유형
지원사업 유형별로 융자 지원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내년 창업지원사업의 예산을 살펴보면, 융자 지원이 1조 5552억 원(47.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뒤따르는 사업화 분야는 7666억 원(23.3%), 기술개발 분야는 6292억 원(19.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기부는 중앙부처 예산 중 가장 많은 2조 9499억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문체부와 과기정통부 등도 각각 530억 원, 454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는 정부의 창업 지원 의지를 나타내며, 창업 기업의 성장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융자 지원: 1조 5552억 원 (47.1%)
- 사업화 지원: 7666억 원 (23.3%)
- 기술개발 지원: 6292억 원 (19.1%)
주요 지원기관 및 사업
중기부를 비롯한 여러 기관이 창업 지원 사업에 참여합니다. 특히, 올해부터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이 창업지원사업을 새롭게 신설하여 다양한 사업을 포함하게 됩니다. 방사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 및 국방기술 창업경진대회 등에 13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에 8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외에도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 네트워킹 및 투자설명회, 개방형 혁신 활동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다양성과 포괄성은 창업 생태계의 다채로운 발전을 이끌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사업화를 위한 여러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중기부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를 통해 10대 신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하여 최대 1310억 원의 예산으로 669개 기업을 지원합니다.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그램도 신설되어,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70억 원의 예산으로 50개사 내외를 지원합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기술개발 지원 방안
지원사업 | 예산 | 대상 기업 수 |
창업성장기술개발 | 5960억 원 | 1050여 개 |
중기부는 창업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643억 원을 증액하여 총 5960억 원의 예산으로 업력 7년 이하의 창업기업에 최대 15억 원의 기술개발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는 활발한 기술개발을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방안입니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실험실 창업팀’ 등을 지원하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의 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진출 및 법률 지원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중기부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며, 예산으로 530억 원이 책정되어 353개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은 규제, 자금, 투자 및 계약 관련 법률 상담을 통해 600개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기업의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화 콘텐츠 분야 지원
문화 콘텐츠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습니다. 문체부는 글로벌 진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및 투자 유치를 위한 예산 25억 원을 배정하고 85개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는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창업 생태계의 다양성과 창의성이 결합되어 더욱 큰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재도전 지원 방안
재도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중기부는 실패한 기업인이 다시 창업할 수 있도록 재창업 융자자금을 2000억 원으로 확대 지원하며, 경기도, 광주시, 제주도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해당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재창업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도전 정책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많은 창업자들이 재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학 중심의 창업 지원
창업지원 역량이 뛰어난 대학을 지원하는 정책이 진행됩니다. 중기부는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된 9개 대학에 예산 775억 원을 배정하여 창업 기업 약 800개 사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는 대학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또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 생태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입니다.
창업지원사업 정보 확인 방법
창업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는 온라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기부의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및 세부 사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K-Startup 포털과 중기부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됩니다. 내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의 세부 사업별 공고는 해당 부처와 지자체 웹사이트에서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 접근성은 예비창업자와 창업 기업들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경로가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