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지도 LX플랫폼 독점 공급 사실이 아니다!

Last Updated :

LX플랫폼 현황과 경쟁력

LX플랫폼은 현재 3D 공간정보 제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민간 플랫폼과의 경쟁을 통해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국토정보공사의 3D 공간정보 시스템인 LX플랫폼이 지자체에 독점적으로 3D지도를 공급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의 주장에 따르면 LX플랫폼은 디지털 트윈국토 시범사업을 통해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체 24개 시범사업 지자체 중 10개만 LX플랫폼을 선택하였습니다. 이러한 선택은 민간 플랫폼의 참여를 통해 구성되었으며, 청주는 민간 플랫폼을 선택한 사례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 선택의 자율성

지자체는 LX플랫폼과 민간 플랫폼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LX플랫폼은 지역에 따라 민간 플랫폼과 경쟁하며, 24개 지자체 중 14개는 민간 플랫폼을 선택하였습니다. 특히 청주는 LX플랫폼이 아닌 민간 플랫폼을 선택하여 정책 결정에서 민간의 역할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지자체의 필요에 맞추어 최적의 3D 공간정보 시스템을 선택하도록 지원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선택 과정은 공간정보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LX 플랫폼 사용 지역: 충청남도, 진천군 및 아산시 등
  • 민간 플랫폼 사용 지역: 인천광역시, 청주시, 서초구 등
  • 전체 지자체 수: 24개

3D 데이터 정밀도 문제

현재 제공되는 3D 데이터는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디지털트윈국토 시범사업에서 제공하는 3D 데이터는 신산업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지자체의 필요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의 고정밀 버전을 구축하여 LX플랫폼에 탑재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지역 맞춤형 고정밀 데이터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신산업 활성화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고정밀 3D 공간정보 구축 계획

향후 고정밀 3D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디지털트윈 구현 및 νέ오기술 적용을 위한 고정밀 3D 공간정보 확보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항공 LiDAR, 드론 촬영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신산업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이와 같은 데이터 기반의 정책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

국내 플랫폼 민간 플랫폼 선택 가능한 지자체
충청남도, 진천군, 아산시 인천광역시, 청주시 24개 지자체

지역별 데이터 플랫폼의 다양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LX플랫폼과 민간 플랫폼 간의 경쟁은 국내 공간정보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며, 각 플랫폼의 강점을 활용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며,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향후 발전 방향

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한 공간정보의 혁신이 기대됩니다. LX플랫폼과 민간 플랫폼 간의 경쟁은 국내 공간정보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정밀하고 다양한 3D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신산업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정보 사용의 차별화와 효과적인 정책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및 제언

국토정보정책의 다변화와 합리적인 데이터 선택이 필요합니다. 지자체별로 최적의 솔루션을 찾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정부는 비교 가능한 기준을 마련하여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LX플랫폼과 민간 플랫폼 간의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질 경우, 국내 공간정보 산업의 발전이 더욱 기대될 것입니다.

문의 및 정보 출처

궁금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관 공간정보진흥과(전화: 044-201-347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정책브리핑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사진에 대한 저작권은 제3자에게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3D지도 LX플랫폼 독점 공급 사실이 아니다!
3D지도 LX플랫폼 독점 공급 사실이 아니다! | firstkoreanews.com : https://firstkoreanews.com/15236
2025-01-17 1 2025-01-18 1 2025-01-20 2 2025-01-26 3 2025-01-29 1 2025-01-31 1 2025-02-01 1 2025-02-05 2
인기글
firstkoreanews.com © firstkoreanews.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